Atomic Habits(아토믹 해빗츠) - 제임스 클리어
좋은 습관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나쁜 습관을 어떻게 없앨것인지에 대해서 알려주는 책이었다.
읽으면서 내가 가졌던 좋은 습관들과 나쁜 습관들이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너무나 공감이 되었고, 앞으로도 좋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서 계속 조금씩 조금씩 저자가 말한대로 해볼 생각이다.
보통 성공한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공한 사람의 습관을 보지 않고 한 순간의 성공만을 바라보게 되어있다. 하지만 그동안의 여러 습관들이 쌓여왔기에 그 사람은 성공 했다. 그렇기에 성공한 사람들이 가져왔던 습관들을 나도 똑같이 하다보면 성공 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하지만 성공만을 바라보며 습관을 만들다보면 저자는 행복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한다. 좋은 습관을 만들고 나쁜 습관을 버리는 시스템을 만들어 두어야한다고 한다. 이런 시스템이 갖추어지게 되면 결과가 아닌 과정을 좋아하게되고 자연스럽게 행복이라는 감정도 따라오게 된다고 한다.
보통의 사람들은 나를 바꾸고 싶을때 나의 결과를 바꾸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접근이라고 한다. 행동의 변화는 결과, 과정, 정체성 변화라는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있다. 결과라는 껍데기만 바꾸려고 하면 정체성을 바꾸기는 어렵다고 한다. 그렇기에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정체성을 바꾸는 것이고, 그 정체성에 따라 과정을 만들고 결과를 만들어내야한다고 한다. 초점은 늘 어떤 사람이 되는 것이어야지, 어떤 결과를 얻어내겠다는데 있으면 안 된다.
저자가 말하는 습관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 표로 정확히 요약이 된다.
습관이라는 것은 신호 - 열망 - 반응 - 보상 단계를 거치고 보상은 또다른 신호가 되고 반복되어 만들어 지는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각 4단계로 나누어 어떻게 좋은습관을 만들것인지, 나쁜 습관을 버릴것인지 자세하게 알려주고있다.
1. 신호
분명하게 만들어라 : 좋은 습관을 위해서는 나의 현 습관 위에 습관을 쌓는 습관 쌓기를 이용하라고 한다. 나는 핸드폰을 자주 본다. 그렇기에 핸드폰을 한번 볼 때마다 운동을 하는 습관을 쌓아보려 한다.
보이지 않게 만들어라 : 여기에 핸드폰을 자주 보는 나쁜 습관을 버리기 위해서 핸드폰을 운동기구 옆에 두기로 했다. 핸드폰을 볼 때 운동을 하게되면서 신호가 분명해진다. 또한 핸드폰을 운동기구 옆에둠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게 되어 신호에 노출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2. 열망
매력적으로 만들어라 : 신호를 받았다면 그 신호에 대해서 어떤 행동을 취하고싶은 열망이 생기게 될 것이다. 이 열망 단계에서는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내가 원하는 행동이 일반적인 집단에 들어가라고 한다. 집단에서 더 잘 어울리고 싶을것이기에 그 행동에 대한 열망이 더 생길 것이다.
매력적이지 않게 만들어라 : 반대로 나쁜 습관을 했을 때 전혀 매력적이지 않게 만들라고도 한다. 나쁜 습관을 하지 않았을 때의 이득을 생각하라고 한다.
3. 반응
하기 쉽게 만들어라 : 무언가를 해냈다는 느낌을 받기 위해서 처음부터 무리를 해서 시작하게 되면 그것으로 습관을 만들 수가 없다.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내가 할 수 있는만큼만 아주 조금으로 시작해야한다. 그래야 그 행동을 하기위해 쓰는 에너지가 적어지고 하기가 쉬워진다. 그러고나서 그걸 꾸준히 했을 경우 점점점 늘려가는 방식으로 해야한다. 그리고 나와 습관 사이의 마찰을 줄이라고 한다. 내가 하는 행동들에 습관을 넣었을 때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게 하면 안 된다. 예를들어 헬스장은 회사와 집 사이에 있는 곳으로 등록을 해야한다.
하기 어렵게 만들어라 : 안 좋은 습관들은 하기 어렵게 만들라고 한다. 내가 컨트롤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버리고 인정을 한 뒤 나를 묶어버려야한다. 예를 들어 밥을 먹으러 갔을 때 일단 반은 포장을 해달라고 해버리면 된다. 그러면 포장 한 것을 뜯어야하는 수고스러움 등이 그 행동을 하기 어렵게 만들 것이다.
4. 보상
만족스럽게 만들어라 : 좋은 습관을 위한 반응을 보였다면 즉각적으로 보상을 주어야한다. 그래서 그것이 만족스럽게 느끼게 해야한다. 내가 처음 달리기에대한 습관을 만들기 시작했을 때, 완주를 하고나면 과자 한봉지를 나에게 보상으로 주었다. 그렇게 큰 보상은 아니었지만 즐거움을 주었기에 습관을 만들 수 있었다. 그리고 두번 이상 거르지 말라고 한다. 좋은 습관을 유지하다가 한 번쯤은 거를 수 있다. 하지만 두번연속 거르지는 말라고 한다. 무조건 다시 돌아와서 습관을 유지해야한다고 한다.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만들어라 : 예를들어 저녁에 술을 마시고 맛있는 짠것들을 많이 먹고 자면 다음날 아침에 붓는다. 그 기분을 많이 먹을때에도 계속 생각을 하게 해야한다. 그리고 실제로 다음날 아침에 부었을 때 내 얼굴을 보며 불만족 스러움을 느껴야한다. 그러다보면 술을 마시다보면 문득 생각 날 수 있다.
이렇게 4가지에 대해서 나누어 어떻게 좋은 습관을 가지고 나쁜 습관을 버리게 해야할지 알려주고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히 하는 것이다. 좋은 습관을 가지겠다는 동기는 실제로 오래가지 않는다. 나만 그런것도 아니다. 성공한 사람들도 다 동기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그들은 지루함을 느끼는 대신 동기가 일어날 방법을 계속 찾는다고 한다. 성공의 가장 큰 위협은 실패가 아니라 지루함이라고 한다. 어떤일으 탁월하게 해내는 유일한 방법은 그 일을 하고 또 하는 것에 끝없이 매력을 느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지루함과 사랑에 빠져야한다.
지루하지만 꾸준히 점차적으로 작은 변화들을 하나씩 차곡차곡 쌓아올리면 인생의 저울이 움직인다고 한다. 결국 무엇이든 꾸준히 하는 사람은 잘 하게되고 성공하게된다. 그 과정에서 행복을 느끼며 산다면 최고의 삶이 아닐까 싶다.
"행복은 추구하는게 아니라 어떤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다. 욕망은 추구할 수 있다. 즐거움은 행동에 따른 것이다"
- 빅터 프랭클(오스트리아 신경과학자)